상세정보
의사 사용법
- 저자
- 매튜 한 저/이달리 역
- 출판사
- 처음북스(CheomBooks)
- 출판일
- 2018-01-23
- 등록일
- 2020-07-0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8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아프긴 아픈데 심각한 것 같지는 않고, 병원에 갈까 말까 고민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다면 반드시 이 책을 봐야 한다.
『의사 사용법』은 현대인을 위한 의학 생존 가이드북의 완결판이다. 가정의학과 전문의 매튜 한 박사는 이 책에 우리의 생명을 살리고,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자세하게 담았다. 풍부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치명적인 증상은 물론 응급상황을 제때 판단하는 방법 또한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예방 의료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과 미래에 응급상황을 피하려면 지금 생활에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조언해준다. 『의사 사용법』은 갑자기 닥쳐오는 병에서 우리를 구해줄 구원자다.
책 속에서
필요시 의료 서비스 받기, 현대 예방 의료 케어가 선사하는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강식 먹기와 운동하기라는 3박자가 모두 맞아야 누구나 오래도록 건강하게 행복한 삶을 최대한 영위할 수 있다. 『의사 사용법』은 이 세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게 당신을 돕는 특별 맞춤서다.
발열은 무언가 잘못되었음(대개 감염)을 알리는 신호로, 체내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항하는 일종의 신체 반응이다.
첫째, 발열은 체온이 섭씨 38도 이상인 상태를 말하는데, 이는 꼭 알아 두어야 할 필수 상식에 해당한다.
둘째, 열이 심한 정도와 병의 심각성은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다. 다시 말해, 고열이 있는 사람이 미열이 있는 사람보다 반드시 더 많이 아픈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자, 이제 당신은 현재 당신에게 나타난 증상이 걱정되는 상태다. 그래서 의사와 진료 약속을 잡으려고 한다. 당신은 자신의 증상(들)에 대해 어떤 정보를 의사에게 알려야 할까? 사실, 당신의 설명 내용과 증상에 대한 설명 방식이 시기 적절하고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또 방해가 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간략하게, 증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저자소개
의학 박사 매튜 한은 메릴랜드 주 핸콕의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환자 돌보기를 완벽하게 해내면서 환자들이 건강해질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싶어 한다. 그는 ‘메릴랜드 주 올해의 가정의’로 뽑혔다. 결혼해 슬하에 딸을 하나 두고 있으며, 취미는 느릿느릿 오래 달리기다. 그는 현재 웨스트버지니아 주, 버클리스 프링스에서 살고 있다.
목차
들어가기 008
1부: 절대 무시하면 안 되는 60가지 증상
챕터 1 워밍업 018
챕터 2 병원 방문 시기: 질병의 기본적 징후 및 증상 028
챕터 3 일반 증상 038
1.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 과민증) 038 | 2. 극심한 갈증 040 | 3. 발열 042
4. 원인불명의 급격한 체중 감소 044
챕터 4 신생아, 아기, 그리고 영유아 049
5. 진정하지 않고 우는 아기 049 | 6. 설사하는 아기 050
7. 생후 1개월 이상 된 영아의 발열 052 | 8. 신생아의 발열 053
9. 무기력하고 피곤해 보이는 아기 | 10. 분출성 구토 증상을 보이는 아기 054
11.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이는 아기 055
챕터 5 머리 064
12. 두통 064 | 13. 위험 경고 수준의 두통 065 | 14. 50세 이상의 편두통 066
챕터 6 눈 072
15. 눈 혹은 눈꺼풀의 외양 변화 073 | 16. 안통 075
17. 급격한 시력 변화 076 | 18. 갑작스러운 실명 077
챕터 7 귀, 코, 그리고 목구멍 078
19. 귀 통증(이통) 078 | 20. 이명(박동성 이명) 083
21. 갑작스러운 청력 손실(난청) | 22. 코피 084 | 23. 인후농양이나 목 종기 087
24. 전염성 단핵구증 087 | 25. 패혈성 인두염 088
챕터 8 흉부/심장 혈관 계통 095
26.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부정맥) 095 | 27. 가슴 통증 096
챕터 9 폐/ 호흡 107
28. 기침 107 | 29. 호흡 곤란의 점진적 징후 108 | 30. 급성 호흡 곤란 109
31. 만성 폐 질환자의 급성 호흡 곤란 110
챕터 10 등(요통) 116
32. 요통 116 | 33. 마미증후군 118
챕터 11 배(복부) 125
34. 복통 125 | 35. 탈장 127 | 36. 체증(소화불량) 128
챕터 12 배뇨기관: 우리 몸의 배관 시설 143
37. 혈뇨 143
챕터 13 내장과 직장: 우리 몸의 하수 시설 150
38. 출혈: 직장출혈 혹은 혈변 150 | 39. 배변 습관의 변화 152
챕터 14 여성 질환 158
40. 여성 질환 ? 기본 강좌: 무월경 158
41. 여성 질환 ? 심화 강좌: 비정상적인 질 출혈, 질 분비물, 골반통, 종양 혹은 부종 159
42. 폐경후출혈 161
챕터 15 남성 질환 165
43. 포경 수술을 받지 않은 성기의 부종: 감돈포경 165 | 44. 고환 혹 166 | 45. 고환통 167
챕터 16 팔다리(사지) 168
46. 심부정맥혈전증(심장리듬장애혈전증) 168
챕터 17 신경과 170
47. 정신 상태의 변화 170 | 48. 발작 171 | 49. 뇌졸중 174
챕터 18 피부 183
50. 혈관부종 184 | 51. 봉와직염/ 부스럼 185 | 52. 헤르페스 188
53. 두드러기(담마진) 189 | 54. 라임병 190 | 55. 홍역 192 | 56. 뇌수막염 194
57. 사마귀/종양 195 | 58. 대상포진 197 | 59. 스티븐존슨 증후군 200 | 60. 독성쇼크증후군 201
챕터 19 나만의 의료 정보 작성하기 207
2부: 현대 의학의 기적
현대의 예방적 치료법 이용하기 224
3부: 건강해지는 워크북
챕터 1 워밍업 250
챕터 2 건강해지는 워크북 사용법 257
건강해지는 워크북 사용법: 빠른 안내 | 건강해지는 워크북 사용법: 꼼꼼 안내
챕터 3 동기 263
건강해지기 위한 변화 동기
챕터 4 개인 평가 267
식습관 문제 평가 도구 | 운동 평가 도구
챕터 5 체중, 식사, 운동 및 건강 목표 세우기 277
체중 감량 목표 | 식사 목표 세우기 | 운동 목표 세우기 | 노트
챕터 6 캘린더 292
한 달 분량의 식사 과제 캘린더 | 한 달 분량의 운동 및 신체 활동 과제 캘린더
성패에 관한 간편 노트
챕터 7 성취 과정 재평가하기 295
챕터 8 건강 관리에 관한 제언 299
체중 감량의 수학
챕터 9 체중 감량 303
살 빼는 데 남다른 효과가 있는 식품은 따로 존재할까? | 꼭 굶어야 할까?
체중 감량 약물과 다이어트 보충제 | 체중 감량에 정말 효과 좋은 것들 | 결론
챕터 10 영양 기초 상식 315
한마디로 정의한 영양 상식: 단순화하기 | 영양을 둘러싼 논란거리
영양 밀도 | 영양 보충제 | 결론
챕터 11 과제: 식습관 관리 325
노트
챕터 12 과제: 식사량 조절 332
1인분의 정의는? | 더 작은 접시, 그릇, 잔을 사용하라 | “두 그릇은 절대 안돼” 법칙
패밀리 레스토랑과 뷔페 식 식당을 피하라 | 외식하기
앤디 워홀은 살 빼는 중: 싫어하는 음식 고르기 | 마지막 노트 | 노트
챕터 13 과제: 스낵, 단 것, 그리고 정크푸드 줄이기 338
노트/아이디어/코멘트/계획
챕터 14 과제: 야식 끊기 342
챕터 15 과제: 설탕 및 칼로리 함량 음료 줄이기 345
챕터 16 과제: 패스트푸드 섭취와 외식하기 347
챕터 17 과제: 흰 빵, 파스타, 그리고 정제된 탄수화물 줄이기 349
챕터 18 과제: 최적의 영양 351
챕터 19 과제: 신체 활동 353
운동은 얼마나 많이 해야 충분할까? | 운동 강도가 중요할까? 모든 운동은 동시에 해야만 하나? | 어떤 유형의 운동이 가장 좋을까? HIIT 운동 샘플 | 부상과 통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하기 어떠한 상황에서도 운동할 계획을 세우라 | 결론 및 과제
보충 자료: 운동 계획표 366
운동 계획표 샘플 1 | 운동 계획표 샘플 2 | 운동 계획표 샘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