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도시를 짓는 사람들
- 저자
- 이재용,이재유,고병기,권경원,박성호,신희철,정순구,조권형 공저
- 출판사
- 알에이치코리아(RHK)
- 출판일
- 2016-12-14
- 등록일
- 2017-11-16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0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들과 함께 떠나는 도시 건축 순례기
“관철동 삼일빌딩부터 동대문디자인플라자까지
도시의 기억을 읽는다!”
때로는 가이드북처럼 때로는 역사서처럼 건축물과 장소의 기억을 꼼꼼히 기록한 책
도시는 건축 박물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600년이 넘은 도시인 서울은 인간이 100년을 살다가 다시 태어나도 여섯 번이나 살았을 엄청난 역사를 가진 곳이다. 그처럼 긴 시간 동안 현재의 우리 삶에 영향을 미쳐왔던 흔적들이 여기저기 남아 있다. 이 책은 서울을 비롯해 주변 도시에서 그 흔적들을 찾아 나선다. 길게는 수십 년 짧게는 수년 전에 지어진 건축물의 역사와 스토리를 소개하며, 때로는 가이드북처럼 때로는 역사서처럼 건축물과 장소의 기억들을 꼼꼼히 기록해 보여준다. 이 같은 흔적들을 읽으며 우리는 우리 삶의 안부를 다시 한 번 묻게 된다.
도시 건축물에는 시대의 가치관이 들어 있다. 역사의 아픔을 담은 폐쇄적 공간에서 시민을 위한 열린 마당으로 변신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필로티 구조로 비어 있는 1층 공간을 통로 삼아 대학로 안과 밖을 드나들게 만드는 공공영역으로 자리한 샘터 사옥. 버려진 물탱크로 흘려드는 한 줄기 햇빛에서 영감을 얻어 시의 공간으로 빚어낸 윤동주문학관…. 이 책은 한국 최초의 현대적 빌딩인 관철동 삼일빌딩에서부터 역사적 논란이 끊이지 않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까지, 근대 이후 한국 건축 역사의 한 획을 그은 건축물들을 두루 살피며 그 안에 담긴 거대한 세계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건축물과 건축가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평가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현재를 살아가는 건축가가 지녀야 할 가치관과 인성적 자질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결국 건축은 인간과 사회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게 하는 학문인 철학에 가까움을 강조하는 것이다.
저자소개
홍익대 건축학부 교수이자 유현준건축사사무소 대표 건축사.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건축설계 석사학위, 하버드대학에서 건축설계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한 후 세계적인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 사무소에서 실무를 했다. MIT건축연구소 연구원과 MIT 교환교수를 지냈다. 2013 올해의 건축 베스트 7, 2013 김수근건축상 프리뷰상, 2011 CNN 선정 15 Seoul’s Architectural Wonders, 2010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대통령상, 2009 젊은 건축가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현대건축의 흐름』『52 9 12』『모더니즘』 등이 있다.
목차
서문_ 살아 있는 서울의 주름살을 읽어주는 책
1장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곳
서울의 막힌 혈관을 뚫다_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한국 마천루의 효시_ 관철동 삼일빌딩
도시를 젊게 만드는 오래된 건축_ 대학로 샘터 사옥
서울역 앞 거대한 짐승 같은 빌딩_ 남대문로 서울스퀘어
버려진 물탱크로 빚어낸 시의 공간_ 청운동 윤동주문학관
역사적 기억들이 담긴 장소_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한 공간에 담긴 세 개의 시간_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 꿈마루
2장 쓰임새의 한계를 넘어서다
비스듬한 오름길을 따라 걷는다_ 인사동 쌈지길
망치질하는 사람과 열린 갤러리_ 광화문 흥국생명빌딩
전통 방패연을 형상화한 사각 구장_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
산을 뒤집은 파빌리온_ 송도 트라이볼
공장도 아름다울 수 있다_ 한샘 시화공장
회백색의 단아하고 각진 풍경_ 파주출판단지 화인링크
한국적 리트리트를 추구하다_ 청평 게스트하우스 리븐델
3장 재생의 미학을 실천하다
경계를 없앤 ‘도시의 방’_ 서천 봄의 마을
문화 플랫폼으로 부활하다_ 인천 한국근대문학관
폐허 찜질방이 미술관으로_ 화성 소다미술관
장인정신이 살아 있는 공간_ 종로 세운상가
빛을 품은 빌딩_ 용인 헤르마주차빌딩
반세기 동안 한자리를 지키다_ 중구 장충체육관
장소의 정체성을 부여하다_ 이태원 현대카드 뮤직라이브러리
동네 풍경을 바꾼 파격의 미학_ 화성 폴라리온스퀘어
4장 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
개발 욕망에 끊어진 도시의 맥_ 강남 르네상스호텔
캠퍼스 도시를 꿈꾸다_ 서대문 이화여대 ECC
북한산과 한 몸처럼_ 평창동 오보에힐스
대학 캠퍼스 건물이 달라진다_ 상도동 숭실대 학생회관
제주의 자연을 끌어들이다_ 서귀포 파우제 인 제주
좋은 건축은 풍경을 바꾼다_ 부산 S주택
아쉽고 불편한 서울의 아이콘_ 한강 세빛섬
5장 도시 풍경을 바꾸다
소통과 균형의 미가 만나다_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세모난 교실 가운데 하늘 향한 공원_ 남양주 동화고 삼각학교
바위 언덕을 품고 들어선 집_ 평창동 미메시스아트하우스
대지공유 모델을 제시하다_ 강남 A4블록 공동주택
축구 천국을 넘어 커뮤니티 공간으로_ 전북현대모터스 클럽하우스
만인을 위한 만 가지 공간_ 서울 마이바움 역삼
상습 정체구간의 꾸불꾸불 발코니_ 한남동 현창빌딩
파트별 필진 소개 | 필진 약력